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4/03 네트워크 정리

UTP 케이블 타입과 크로스 타입 개념

  • 다이렉트 케이블 : 서로 다른 기기 간 통신용. 양 끝 배열이 동일하며 일반적으로 사용됨
  • 크로스 케이블 : 동일한 기기 간 통신에 사용 송신(tx) 신호와 수신(rx)신호를 교차 연결하여 허브 없이 두장치를 직접 연결 가능

인터페이스의 역할 

  •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신호를 전환 하는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.
  •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거나, 반대로 변환하여 수신
  •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.

 

CSMA/CD 방식

  1. CSMA/CD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충돌을 감지하고 해결하는 프로토콜
  2. CS(Carrier Sense): 데이터 전송 전에 매체가 유휴 상태인지 확인.
  3. MA(Multiple Access): 여러장치가 동일 매체에 접근 가능
  4. CD(Collision Detection) : 충돌 발생 시 이를 감지하고 데이터 재전송 절차를 수행

데이터 링크 계층의 LLC와 MAC

LLC(Logical Link Control) : 데이터 흐름 제어 및 오류 관리를 담당 상위 계층과의 인터페이스 제공

MAC(Media Access Control) : 물리적 매체에 대한 접근 제어 및 주소 지정 기능 수행

 

 

 

이더넷 스위치의 원리

이더넷 스위치는 패킷의 이더넷 헤더 정보를 읽고 MAC 주소를 기반으로 목적지 포트를 결정하여 데이터를 전달한다.

 

NAT를 통한 IP 전환 과정

  • 사설 IP는 NAT를 통해 공인 IP로 변환됩니다.
  • 내부 네트워크에서 나온 패킷의 출발지IP를 공인 IP로 변경
  • 응답 패킷은 NAT 테이블을 통해 다시 사설 IP로 매핑

DNS, FQDN 과정

 

FQDN : 도메인의 완전한 이름

 

 

ARP 프로토콜 요청 및 응답 방식

  • ARP 요청 - 브로드캐스트로 MAC 주소를 요청
  • ARP 응답 - 대상 장치가 유니케스트로 MAC 주소를 반환
  • ARP 캐시 테이블에 학습된 MAC 주소를 저장해서 이후 빠른 통신 가능

 

 

루핑의 발생 이유

  • 루핑은 네트워크에서 패킷이 끝없이 순환하는 문제로, 스위치 간 연결 오류나 잘못된 설정으로 발생

FTP와 TFTP의 차이점

  • FTP : TCP 기반, 3-WAY HANDSHAKE를 통해 에러 확인 가능
  • TFTP : UDP 기반 ,파일 전송 성공 여부는 사용자의 확인 필요

표현 계층에서 데이터 처리의 예시

인코딩/디코딩 : 텍스트 데이터를 특정 형식으로 변환 및 복원,
암호화/복호화 :  데이터를 보안 처리 후 복원
압축/압축 해제 : 데이터 크기 축소 및 원래 상태 복구 

 

ARP 캐시 테이블 저장 위치

  • 시스템 메모리에 저장되며 운영 체제가 관리

허브와 스위치 개념

  • 허브는 플러딩 방식으로 모든 포트에 데이터 전달
  • 스위치는 특정 MAC 주소에 따라 데이터를 전달

 

게이트웨잉와 로컬 네트워크 관계

게이트 웨이는 네트워크와 동일한 서브넷 대역에 있어야 정상적으로 통신이 가능

 

디폴트 라우터 개념 및 설정

디폴트 라우터는 네트워크 외부로 나가는 경로를 제공, 운영 체제에서 네트워크 설정 메뉴에서 확인

 

브로드캐스트 주소 예시와 의미

브로드캐스트 주소는 네트워크 내 모든 장치에게 데이터를 전달하는 주소

 

 

라우팅 프로토콜 종류

 RIP
OSPF
BGP

 

루프백 IP 주소 개념

루프백은 자체 테스트 용도로 사용되는 IP 주소

예 ㅣ 127.0.0.1

 

리미티드 브로드캐스트 의미

리미티드 브로드캐스트는 특정 네트워크 내 모든 장치에게 데이터를 전송

IP주소는 255.255.255.255

 

TTL 

패킷 생존 시간 정의, 루프 방지 및 네트워크 부하 감소 역할

 

사설 IP 대역
A 클래스 10.0.0.0 ~ 10.255.255.255
B 클래스 172.16.0.0 ~ 172.31.255.255
C 클래스 192.168.0.0 ~ 192.168.255.255